반응형
Buffer
Buffer: 버퍼 다음 보내줄 이름을 정해주고 시간을 정해준다. 그다음 숫자는 아웃채널 수이다.
버퍼에 연결되는 것들 Read 파일명은 그 메세지 박스를 누르면 파일이 불러온다. 주의할 점은 그 파일이 패쳐와 같은 폴더 위치에 있어야 한다.
loadbang은 패쳐를 실행시킬 때 자동으로 명령을 해주는 것이다.
MTOF
mtof: 미디를 주파수로 바꾸어주는 것이다.
function: 엔벨로프 그래프를 그릴 수 있는 것이다. 다른 그래프에서도 사용한다.
setdomain: 엔벨로프의 x축 길이를 조정하는 것이다.
Amplitude Modulation
FM: 주파수 변조
AM: 음량 변조 - 트레몰로(음량)
2가지 종류
Ring 모듈레이션 - 특징: 볼륨이 0되는 지점이 있다.
트레몰로 - 특징: 볼륨이 0인 지점이 없다.
LFO(Low Frequency Oscillator)를 새끼로 이야기한다.
그래서 LFO는 모듈레이션이라고 하고, 아래있는 큰 것은 케리어라고 부른다.
Depth에서 0.5 이상이 되면 링이 된다.
그래서 트레몰로로 쓰기 위해선 0.5 미만으로 사용해야 한다.
음악을 트레몰로로 사용할 때 어떻게 해야하는지 보여주는 패치이다.
반응형
'취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APP] 안드로이드폰으로 맥(OS X)를 조정하자! 'UNIFIED REMOTE' (2) | 2014.06.20 |
---|---|
마산재건교회 방문 (0) | 2014.06.15 |
[IT] Taobao를 통해 물건 사보자!! (4) | 2014.06.08 |
SS Family - 일요일에 만나요 (Original Song IU) (2) | 2014.06.08 |
Bari-Star K - 'World Music Travel' (0) | 2014.06.05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