Power Amp & Speaker Matching (1)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2121C24A56D18B991D)
음향기기를 셋업하다보면 여러 스피커와 여러 앰프를 만나게 된다.
그때마다 옴계산을 해야한다. 제대로된 셋팅인지 아닌지를 확인해야하기 때문이다.
그것을 잘 가이드 할 수 있도록 내용을 정리해본다.
Speaker 연결방법
직렬연결(Serial), 병렬연결(Parallel), 직렬+병렬연결이 있다.
직렬연결(Serial)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240C554556D18A8923)
직렬연결 시 두 스피커의 저항(Ohm)을 더하면 된다.
8 Ohm 스피커가 2개를 연결한다면, 8+8=16 Ohm이 된다.
예제)8 Ohm 스피커 4개를 연결한다면 저항이 몇일까?
정답은 8+8+8+8=32 Ohm
직렬연결은 파워앰프의 힘을 스피커가 나눠가지게 된다.
이렇게 사용할 경우,
스피커 : 스피커의 효율의 절반만큼 동작한다.
앰프 : 한개의 스피커를 운영하는것과 같이 작동한다. 발열의 문제가 없다.
병렬연결(Parallel)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216F154C56D18AA029)
병렬연결은 보통 스피커에 있는 두개의 단자를 통해 연결하는 방법이다.
앰프에서 첫번째 스피커로, 첫번째 스피커에서 두번째 스피커로 연결하는 방법이다.
병렬연결 시 스피커의 저항(Ohm)은 줄어들게 된다.
이렇게 사용할 경우,
스피커 : 스피커의 효율만큼 동작한다.
앰프 : 총 Ohm이 줄었기 때문에, 앰프에 발열이 생긴다.
이 연결의 장점은 최대 출력을 얻을 수 있지만, 단점은 Power Amp가 열을 많이 받는다는 점이다.
Speaker 와 Power Amp를 연결해서의 Ohm
Power Amp의 최저저항으로 스피커를 연결한다면
- 장점 : 최대 출력을 얻을 수 있다.
- 단점 : Damping Factor와 Slew Rate가 낮아진다.
Damping Factor와 Slew Rate가 좋으면 섬세하고 정확한 표현이 좋아진다.
Damping Factor와 Slew Rate는 Ohm이 높으면 좋아진다.
이렇게 자신이 맞게 Power Amp와 Speaker를 Matching해서 사용하면 된다.